여야는 18년 만에 국민연금 개혁안에 합의하였으며, 이는 2025년 3월 2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습니다
국민연금 개혁 배경
우리나라는 급격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국민연금의 재정 안정성이 위협받고 있어 개혁이 필수적인 상황입니다.
이번 개혁의 핵심 내용
1. 보험료율 점진적 인상
현재 소득의 9%인 국민연금 보험료율이 2026년부터 매년 0.5%씩 점진적으로 올라, 8년 후인 2033년까지 13%로 인상됩니다. 이는 연금 재정 안정화를 위한 조치입니다.
2. 소득대체율 인상 (40%→43%)
국민들이 은퇴 후 받는 연금액의 기준이 되는 소득대체율이 2026년부터 43%로 올라가게 되어, 노후 소득 보장이 조금 더 강화됩니다.
3. 출산 크레딧 개선
지금까지는 둘째 자녀부터 추가 가입기간을 인정했으나 앞으로는 첫째 자녀부터 12개월의 가입기간을 추가로 인정하고, 최대 인정 기간의 상한선도 폐지하여 자녀가 많을수록 연금 혜택이 늘어납니다.
4. 군 복무 크레딧 확대
기존 군 복무자에게 제공된 6개월의 추가 가입기간이 앞으로 최대 12개월까지 인정됩니다.
앞으로의 논의 방향
이번 개혁을 통해 국민연금의 안정성과 노후 소득 보장을 함께 강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보험료율 인상에 따른 국민 부담과 소득대체율 적정성 문제는 계속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연금 구조개혁 논의를 위한 특별위원회도 구성됩니다.
국민연금 문제는 우리 모두의 미래와 연결된 중요한 사안이므로 앞으로도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것이 필요합니다.